본문 바로가기
사(적) 기록/심심해서 정리하는 기록

[2부] 하이브리드 구매 시 세제 혜택, 무엇이 있을까? (w.팰리세이드 풀체인지)

by 영차-영차 2024. 12. 4.
반응형

 

앞서,  둘째를 기다리며 풀체인지된 펠리세이드(LX3) 가격을 예측해 보았는데요! 
하이브리드 모델이 출시되는 만큼, 초기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세제 혜택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까요?

구분
내용
1. 가격 예측 [1부] 신형 펠리세이드(LX3) 얼마에 구매할 수 있을까?
2. 혜택 정리 [2부] 하이브리드 구매 시 세제 혜택, 무엇이 있을까? 
3.  결론 [3부] 싼타페와 팰리세이드, 하이브리드 모델을 노려보자!

* 제가 관심 있는 가솔리 HEV 모델을 기반으로 정리되는 점 미리 양해부탁드립니다!


1. 세금 및 감면 기준
    -. 어떤 차량과 세금이 감면 대상일까?

먼저, 우리가 구매하고 싶은 차량이 친환경차로 분류되는 감면 대상인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.

1) 감면 차량 기준 (연비 단위 : km/L)
    -.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요건 등에 관한 규정[시행 2024. 11. 22.] 에너지 소비 효율 기준 (제3조 관련)
구분(HEV) 휘발유 경유 LPG 플러그인
대형(2,000cc↑) 13.8 km/L 16.0 km/L 9.7 km/L 18.0
중형(2,000cc↓) 14.3 18.8 12.1
소형(1,600cc↓) 17.0 21.6 13.8
경형(1,000cc↓) 19.4 24.0 15.5
  • 휘발유 차량 기준 리터당 연비효율 대형 13.8 km, 중형 14.3 km, 소형은 17.0 km 이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    → 대형 SUV에 속하는 팰리세이드 HEV(2,500 cc급) 연비 효율이 13.8 km/L 이상 나오길 간절히 바라보면서, 무슨 세금을 감면받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이제 차량을 구매하고, 등록할 때 발생하는 세금 종류에 대해 알아볼까요?  

2) 구매 및 등록 시 금액 기준
   -. 현대자동차 공식 홈페이지 및 찾기 쉬운 생활 법령 정보 검색 기준임.
구분 종류 설명
구매 시, 차량 판매가 지불 판매가=공장도가 + 개별소비세 + 교육세 + 부가가치세
공장도가 차량 공급가
√    ⓑ 개별소비세 차량 공급가의 5% 부과 (경차 제외)
√    교육세 개별소비세의 30% 부과
√    부가가치세 차량 공급가, 개별소비세, 교육세 합의 10% 부과
등록 시, 취득세 및 공채 매입비 지불 취득세+공채 매입비 or공채 할인
√    취득세 판매가에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의 7% 부과 (승용 기준)
공채 매입비 or 공채할인 지차지역별 상이 (면제 ~ 차량가 20%)
  • 차량 구매 시, 지불하는 판매가에는 "개별소비세, 교육세, 부가가치세"가 포함되며, 친환경차 세제 혜택 대상입니다.
  • 차량 등록 시, 발생하는 취득세 역시 혜택 대상이지만 25년 변동 사항이 있으니 아래 자세히 다루어 보겠습니다.
    → (참고 1) 취득세는 차량 용도와 크기에 따라 일부 세율이 결정됨.
구분 비영업용 영업용
경형 4% 4%
승용 7% 4%
승합 5% 4%
화물 4% 4%

 


 

그다음으로, 올해와 내년(24년→25년) 세금 감면 혜택을 승용차 기준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~!

3) 세제 혜택 비교
   -. 24년 : 생활법령 검색 기준
   -. 25년 : 입법 中이나, 두 개 법령이 있어 Update 되는대로 수정하겠습니다 :) 
   -. 다자녀 : 정책브리핑 검색 기준
구분 24년 25년 비고(증감)
최대 감면합계(다자녀 x 기준) 183만원 100.1만원 - 83만원
개별소비세 =공급가*5% 100 70 - 30
★ 9인승 승용 면제 면제  
교육세 =개별소비세*30% 30 21 - 9
★ 9인승 승용 면제 면제  
부가가치세 =(공장도가+개별소비세+교육세)*10% 13 9.1 - 3.9
취득세 =(판매가-부가세)*7% 최대 40 0(종료) - 40
★ 6인승 이하 승용(다자녀) 100%(최대 140) 50%(최대 70) -50%
★ 7인승 이상 승용 (다자녀) 면제 50% 면제 -50%
  • 하이브리드 차량 세금 감면 혜택은 앞으로 감소(183만원→100만원)할 예정입니다.
  • 25년부터 다자녀 기준을 완화(18세 미만 3명→2명)하여 감면 혜택 대상을 확대하는 대신 세금 혜택을 조정(100%→50%)할 예정입니다. (단, 3자녀 이상의 경우 27년까지 취득세 감면 100%가 유지됩니다.)
    팰리세이드 HEV(9인승)를 구매한다면, 개별소비세 및 교육세 면제로 300~500만 원 추가 감면 가능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해 봅니다.

 


 

요약하자면.., 현재 1자녀 가정을 기준으로 세금을 183만 원 감면받을 수 있겠지만 내년 예비 다자녀(둘째 예정) 가정으로 팰리세이드 HEV(9인승)을 구매한다면 가심비와 가성비(?)를 챙길 수 있지 않을까 합리화를 해볼 수 있었습니다.

 

다음 3부에서는 HEV 신차 구매를 고민하고 있으신 분들이라면 공감하실 수 있는 주제 "싼타페 HEV vs 팰리세이드 HEV"를 포스팅해 볼 예정입니다. 1부에서 언급드린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예상 가격을 기준으로 금액 예측 및 전격분석을 해볼 예정이오니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!

 

반응형